[앵커]<br />문재인 대통령의 특별지시로 5.18 진상 규명 작업이 다시 급물살을 타면서 그동안 판도라 상자로 여겨져 온 군 기밀 자료의 공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YTN 취재 결과, 국방부가 새 정부 들어 기무사를 비롯한 전군에 5·18 관련 문서를 전수조사하고 함부로 폐기하지 못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강정규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금까지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놓고 1989년 국회 청문회와, 1995년 검찰 수사, 2007년 국방부 과거사위원회 등의 진상규명 작업이 이뤄져 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진실이 담겨있을 것으로 추정돼 온 군사 비밀 자료가 공개되지 않으면서 의혹규명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됐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번 조사에서 기무사 존안 자료로 대표되는 군 기밀까지 적극적으로 들여다 보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문상균 / 국방부 대변인 : 국방부는 5·18민주화운동 당시 헬기사격과 전투기 대기와 관련해 철저한 진상조사와 진실 규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국방부는 이를 위해 지난달 초, 육군본부와 합참, 기무사와 군 검찰에 모든 5.18 관련 자료 보유현황을 파악하라고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최근에는 이를 공군과 해군, 해병대까지 확대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기무사를 포함해 군내에 남아 있는 5.18 관련 기록 폐기를 엄격히 금지했습니다.<br /><br />관건은 이 기밀 문서나 군 보유 자료에 5·18 당시 부대 이동 상황이나 작전 일지 등 관련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입니다.<br /><br />최근 불거진 헬기 기총사격과 공군 전투기 출격 대기 명령에 대한 증언은 있었지만 아직 문서로 확인된 적은 없습니다.<br /><br />또, 기밀 해지를 위해서는 국방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보안심사위원회의를 거쳐야 하는 만큼 문서를 확인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국방부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민간인이 포함된 특별조사단을 구성해 진상 규명에 나설 방침입니다.<br />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82418083245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